2025년 3월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한 바람과 건조한 날씨로 인해 안동시를 포함한 경북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. 현재까지의 피해 상황과 진화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.
피해 현황:
- 인명 피해: 3월 26일 기준으로 경북 지역에서 최소 14명이 사망하였으며, 안동 지역에서는 2명의 사망자와 2명의 부상자가 보고되었습니다.
- 산림 피해: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 면적은 약 1만 5,158헥타르로 추정되며,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52배에 해당합니다.
- 재산 피해: 주택, 창고, 공장 등 209곳의 건물이 전소되거나 피해를 입었으며, 동안동농협 하나로마트 임하점, 안동남선우체국, 점곡휴게소 등이 전소되었습니다. 또한, 비닐하우스 20동과 농기계 약 90대가 소실되었습니다.
- 문화유산 피해: 천년고찰 고운사와 최치원 문학관이 전소되었으며, 국가유산인 가운루와 연수전도 소실되었습니다. 하회마을은 불길이 5.4km까지 근접했으나, 소방 노력으로 직접적인 피해는 면한 상태입니다.
진화 현황:
산림 당국은 진화 헬기 16대와 인력 908명, 차량 151대를 투입하여 산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 3월 27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안동 지역의 산불 진화율은 52%로 보고되었습니다. 그러나 강풍과 건조한 기상 조건으로 인해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
주민 대피 및 안전 조치:
안동시는 산불 확산에 따라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주변 주민들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습니다. 또한, 3월 25일 오후 5시경에는 전 시민을 대상으로 대피령을 발령하였으며, 약 3,300명 이상의 주민이 임시 대피소에 머물고 있습니다.
산불 원인:
산불은 성묘객의 실화로 추정되며, 해당 성묘객이 묘지를 정리하던 중 불을 냈다고 119에 신고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 발화 지점은 계곡 지형으로 평소 강풍이 자주 몰아치는 곳이었습니다.
현재 산불은 안동을 넘어 청송, 영양, 영덕, 포항 등 경북 동북부로 확산 중이며, 진화 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. 시민 여러분께서는 산불 관련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시고, 당국의 지시에 따라 안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자세한 현장 상황은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:
'Issue있슈!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 연금 개혁과 세대 간 갈등 논란 (0) | 2025.03.24 |
---|---|
미성년자와의 연애, 합법인가 불법인가.. 그 기준에 대해 (0) | 2025.03.13 |
가수 휘성 사망.. '원인 불명' (0) | 2025.03.13 |
도대체 언제? 윤석열 탄핵 선고 예상 일자는? (0) | 2025.03.13 |
심각한 경제 상황, IMF보다 더하다.. 폐업인구 20만명에 육박 (0) | 2025.03.10 |